0

중국에 최근 등장한 신조어 중에는 ‘무통 저축법’, ‘공주저축법’, ‘365저축법’, ‘목어저축법’ 등이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유행어처럼 번지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이들 신조어들은 모두 1990년대와 2000년대 출생한 일명 Z세대들이 선호하는 저축 방식을 일컫는 것들로, 신세대들이 우선 일정 금액을 저축한 뒤, 후에 지출을 계획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선저축, 후지출을 선호하는 중국 청년 세대들의 저축에 대한 선호도를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대목인 셈이다.

이 같은 분위기 속에서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장기간 경제 불황을 목격한 중국인들이 역사상 최대 규모의 저축 예금을 기록했다고 중국 관영 환구망은 27일 보도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이 매체는 중국 중앙인민은행이 공개한 자료를 인용해, 지난 2022년 위안화 예금액은 26조 26억 위안(약 4923조 722억 원)에 달했으며 이는 2021년 대비 약 6조 59억 위안(1137조 2772억 원) 증가한 사상 최대의 액수라고 전했다.

그 중 개인 예금자가 저축한 예금액은 17조 84억 위안(약 3220조 7106억 원)으로 지난 2021년 대비 7조 94억 위안(약 1327조 2999억 원) 증가한 규모다.

하지만 이 같은 저축 예금액 증가에 대해 중국 당국이 마냥 반길 수만은 없는 노릇이라고 이 매체는 추정했다.

최근 중국 18~34세 청년 2만 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 조사 결과, 젊은 청년 세대의 저축률은 지난 2018년 이해 가장 높은 최고액을 기록했고, 저축에 대한 젊은 세대의 선호도의 이유에 대해 약 76%의 응답자가 “비상시 사용할 수 있는 비상금이 필요한데, 최근 들어와 비상금이 필요한 위기 상황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느껴지기 때문이다”고 답해 눈길을 끌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천옌빈 인민대 대학원 상무부원장은 2022년 주민들이 보여준 ‘초과 저축’ 현상에 대해 “중국인들의 소비 의사가 감소했고, 이로 인해 저축액이 상승하는 현상이 곳곳에서 목격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그 주된 이유로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충격과 오프라인에서의 소비 위축, 부동산 시장의 경기 하락, 은행 재테크 상품의 수익 하락 등을 꼽았다. 이 같은 현상으로 인해 주택을 구매하려는 소비자가 크게 줄었고, 재테크 등 투자를 위한 지출 규모도 줄어들었다는 분석이다.

천 상무부원장은 코로나19 사태 중 도심 일대가 봉쇄와 완화 등을 감당하는 동안 주민들은 소득에 대한 불확실성이 언제든 반복될 수 있다는 불안을 내재하게 됐다고 분석했다.

그는 “중국의 미래 경기에 대한 전망 자체가 불가능할 것이라는 위기의식이 주민들 사이에 파다해졌고, 결국엔 위기를 넘기기 위해서는 자구책으로 저축액을 늘리는 등의 초과 저축에 대한 주민들의 열망이 높아진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앞서 중국에서는 경기가 호전될 경우 저축액이 감소, 경기 악화 시 저축액이 증가하는 현상이 반복했다고 이 매체는 주목했다.

자오렌금융(招联金融) 동시먀오 수석연구원은 “중국인들은 오랜 기간 비교적 강한 저축 습관을 내재해오고 있는 민족”이라면서 “지난 1995년 3분기 기준 중국인들의 저축에 대한 비율은 전체 위안화 예금액 대비 주민들의 개인 예금액이 무려 60.4%에 달했을 정도로 소득의 절반 이상을 예금으로 저축하는 높은 저축에 대한 열망을 목격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실제로 중국 국민 경제의 급속한 발전기였던 지난 2017년 12월에는 중국인들의 저축 비중은 전체 위안화 예금액 중 39.2%까지 하락했다.

하지만 2018년 1월을 기점으로 중국인의 저축률은 다시 반등했고, 2022년 1분기에는 전체 위안화 예금액 중 중국인 개인의 예금액 비중은 절반(45.4%) 가까이 상승하는 분위기로 이어졌다.

이에 대해 천옌빈 상무부원장은 “최근 몇 년 사이 중국인들이 보여준 저축에 대한 열망 상승은 코로나19 충격과 소득 분배 구조의 불균형 등 심층적인 원인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결과”라면서 “소득 분배 시스템을 개선해 중산층의 소득 수준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한 시점”이라고 했다.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Related Story

ADVERTISEMENT

ADVERTISEMENT

More from 핫이슈